쉽게 배우는 육아/똑똑한 아이만들기

내 아이가 산만하다면 ADHD를 의심해 보세요

다올친절맨 2016. 2. 2. 14:49

 

내 아이가 산만하다면 ADHD를 의심해 보세요


1. 산만한아이, 이유가 뭔가요? ADHD의 원인
뇌는 부위에 따라 전두엽, 후두엽, 측두엽, 두정엽 등으로 나뉩니다.
그 중 전두엽은 현재 상황에서 어떤 말과 행동을 해야 하는지, 어떤 판단을 내려야 하는지, 여러 가지의 자극 중에서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두엽의 기능이 정상아동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 산만한아이, ADHD의 원인입니다.
이 전두엽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임신중 분만과정 혹은 출산 후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전두엽의 발달이 지연되는 것이 주 원인입니다.
구체적인 원인으로서는 부모나 가족들의 유전적 요인, 임신중 중금속 및 부적합한 약물의 노출, 임신중 엄마의 스트레스, 분만시의 가벼운 뇌손상, 신생아기의 질병, 유아기의 성장에 필요한 적절한 자극의 부족 혹은 자극의 과잉 등입니다.


2. 산만한아이, ADHD의 증상
산만한 아이는 엄밀히 말하면 주의력 배분이 잘 안 된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 아동기 ADHD증상
유치원이나 초등 저학년 아동의 경우 과잉행동이나 주의력결핍의 문제로 일상생활에 문제가 되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놀이 행동 예를 들면 레고나 공룡놀이 등의 특정행동에서는 상당한 집중력을 발휘합니다.
정상아동은 특정 놀이행동 이외의 놀이에서도 어느 정도 비슷한 집중력을 발휘하나 ADHD아동은 그 특정행동 이외에는 전혀 집중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또한 ADHD아동은 컴퓨터 게임에 빠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컴퓨터 게임은 계속적인 자극으로 주의를 환기시키기 때문에 컴퓨터 게임능력은 상당히 뛰어나나, 일상생활에서는 게임처럼 계속적인 자극을 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되므로, 수행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하여 일상에서의 도피처로 게임에 점점 빠져들게 됩니다.


> 청소년기 ADHD증상
중학교에 들어가게 되면 사춘기와 ADHD의 특징인 충동성이 서로 합쳐져서 일상생활의 통제가 힘들어지게 됩니다.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인내심으로 일탈행동이 가벼울 수도 있지만, 주변환경에 따라서 혹은 학업부진이 심각한 경우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충동적인 행동이 심해져서 학업을 수행하는 것이 힘들거나 우울증을 앓기도 합니다.


> 성인기 ADHD증상
성인이 되어서도 ADHD, 충동성 주의력결핍의 증상이 아있을 경우 사회에 나가서도 업무 수행시 실수가 잦고 덜렁거리며 업무파악이 늦고, 이성에 따라 신중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감정이 느껴지는 대로 바로 행동에 옮기려고 하므로 부부나 동료들과의 다툼이 잦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