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배우는 육아/기타

애착육아는 어떻게 하는 걸까요?

다올친절맨 2016. 2. 19. 14:06

 

애착육아는 어떻게 하는 걸까요?


1. 애착관계 맺기
1)출생부터 첫 1년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시기에는 부모가 아기의 두뇌에 영구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생 후 뇌세포 사이에 무수한 연결이 매일 만들어지면서 뇌는 체계화되고 정보 를 저장해 갑니다. 양질의 경험을 하면 더욱 훌륭하고 복잡한 길들이 만들어집니다.
즉, 뇌에 보관된 애착 방식이 미래의 반응과 관계를 위한 기초가 되므로, 영유아 기에 심어진 올바른 애착 방식은 아이가 훌륭하게 자라도록 도와줍니다.


2)부모와의 첫인상이 아이의 정체성을 좌우합니다.
신생아의 뇌에 저장되는 초기의 애착 방식들은 믿음·감정이입·애정·자아관과 같 은 인간의 기본적인 특성으로 발전합니다.


> 부모의 품에서 위안을 받으며 감정이입을 배운 아이는 자라서 절대로 큰 말썽을 부리는 십대는 되지 않습니다.


> 이를 위한 부모의 바람직한 행동
(1)아기 울음에 세심하고 적절하게 반응하기


(2)아이가 배가 고프면 먹이기


(3)아이와 자주 눈을 맞추기


(4)아기를 될수록 안아주기(업어주기)


(5)아기가 불안할 때 달래주기


(6)아기를 안고 다니기(업고 다니기)


(7)아기를 곁에 재우기


(8)사랑과 행복감을 전달하기


아기와 거리를 두는 부모들은 아이가 커서 십대가 되었을 때 아이의 행동을 이해 하지 못합니다. 초기에 형성해야 하는 친밀감을 나중에 만회하려면 훨씬 힘이 듭니다.


3) 애착육아의 기본은 부모의 적절한 반응입니다.
반응은 애착육아의 기본이며 애착육아는 규칙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강화하는 것입니다.


4) 일곱 가지의 애착방법
(1)아기와 긴밀한 유대를 맺습니다.
출생 후의 신체적인 밀착은 아기의 본능적인 애착 증진 행동과 엄마의 모성 이 조화를 이루게 해 줍니다.


(2)가능하면 모유를 먹입니다.
면역력 제공뿐만 아니라 두뇌 영양소를 담고 있습니다.


(3)항상 안고 다닙니다.
접촉은 감성을 풍부하게 할 뿐 아니라 애착관계를 촉진합니다.


(4)아기와 함께 잡니다.
직장이 있는 부모라면 밤에 함께 자는 것만으로도 아기와의 애착 관계를 보 완할 수 있습니다.


(5)아기의 울음에 귀를 기울입니다.
부모가 아기의 울음에 민감하게 반응하면 서로에 대한 믿음이 생기며 이후 아기와의 의사소통도 수월해집니다.


(7)엄격하고 극단적인 육아법은 피합니다.
아기 대신 시계나 시간표를 보라고 가르치는 엄격하고 극단적인 육아법을 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