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배우는 육아/기타

아이가 산만하다면 ADHD증후군을 의심해 보자

다올친절맨 2015. 12. 14. 17:23

 

아이가 산만하다면 ADHD증후군을 의심해 보자

 

ADHD증후군인 아이들은 주의력이 부족한데요.
한 가지 일에 집중하는가 하면 어느새 다른 일을 하고 있을 때가 많답니다.
지시사항을 잘 따르지 않으며 해야되는 일을 잘 잊고 숙제 등을 끝내지 못할 때가 많으며 싫어하고 피합니다.

또한 과잉행동을 보일 수 있는데 가만히 있지 못하는 점이 특징입니다. 

자리에 앉아 있으면서도 꼼지락 거리느라 바쁜가하면 손발을 계속해서 움직이는데요.
말이 과도하게 많으며 계속 움직이려 하기 마련입니다.

ADHD증후군 증상으로 충동적인 성향도 있을 수 있는데 수업도중 질문을 마치기도 전에 대답한다든가 차례대로 기다려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기차례를 기다리지 못하며 타인의 일이나 말에 참견하고 방해할 때가 많습니다. 

 

ADHD증후군 원인 

좌우 대뇌반구 기능이 통합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정보처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두엽 기능도 떨어지기 때문에 감정충동과 전체적으로 두뇌를 통합하는 부분의 힘이 약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시기별 ADHD증후군 증상

(유아)

다른 아이들과는 다르게 태아기에 남달리 잘 놀라면서 많이 울고 작은 자극에도 과민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수면상태도 불규칙해서 잠을 잘 자려고 하지 않거나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자다가 깨기도 쉽답니다.

걷기 시작하면 뛰려는 행동을 보이고 그로 인해 넘어지기 쉬우며 다칠 때가 많습니다.

  

(유치원생)

한 가지 일에 깊게 몰두하지 못하고 주변 자극에 따라 산만해지기 쉬운데 주의력이 흐려지면서 ADHD증후군을 확인할 때가 많습니다.

다른 사람이 하는 말에 귀 기울여 듣는것이 부족하며 공격적이고 충동적으로 행동하는등 과잉행동을 보입니다.

칭찬과 벌에 대해 자극이 거의 없기 때문에 효과가 일시적이고 반복행동을 되풀이합니다.

 
(초등학생)

한 자리에 가만히 있지 못하고 몸을 비비 꼬거나 손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는등 수업시간에 집중하기 어려워 합니다.

주의 집중력 장애가 나타나기 때문에 숙제를 잊거나 선생님이 하는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습니다.

 단체활동에 있어 기본적인 규칙을 지키지 못하면서 다른 아이들을 괴롭힌다거나 방해하면서 과잉행동 양상을 보입니다.

사회성의 결여로 인해 문제가 더 심해지며 이차적으로 우울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