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쉽게 배우는 육아/기타

임산부 주의사항 <직장편>

 

 

임산부 주의사항 <직장편>


산부인과 전문의의  보고에 의하면  

직장을 다니는 임산부의 경우 유산 징후가 보여도 대수롭지 않게 지나치거나 휴식을 취하기가 쉽지 않아

초기 유산율이 높은 편이라고 하네요.   임신 6~12주 사이에는 아무리 소량이라도 출혈이 있으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가 의사의진단을 받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임신 중에도 계속 직장 생활을 해야 한다면 직장 상사나 동료의 도움을 받아

가능한 한 업무량을 줄이고 일의 종류도 육체적, 심리적으로 쉬운 일로 바꾸는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네요.


임신 중기는 비교적 태아가 안정되고 입덧으로 인해 떨어졌던 식욕도 회복되는 시기라고 합니다.

이 시기에는  임산부들은  임신 중독증과 임신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염분을 지나치게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하네요


임신 후기에 접어들면 점점 배가 불러오고 커진 자궁이 심장을 누르는 데다

급격히 늘어난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해 신진대사가 빨라지기 때문에

조금만 움직여도  임산부들은  금방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고 합니다.

이때는 출퇴근을 할 때 갑작스런 충격을 받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필요가 있다고 하는데요.

피로한 데다 충격을 받으면 조산으로 이어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그 밖에 이 시기에는 정기 검진 날짜를 잘 지켜 임신 중독증이 나타나는 건 아닌지,

조산기는 없는지 꼼꼼히 점검하도록  실천하는것이 좋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임신 후기에는 배를 감추기 위한 목적보다는 안전을 위해,

즉 자칫 배에 압력을 가해지는 일이 생길 때를 대비해 임신부용 거들을  착용하거나

산모용 스타킹을 신어 정맥류, 다리 부종을 예방하는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하네요.
 

하지만 복대는 한 번 풀어지면 다시 차기가 불편하므로

직장을 다니는 임신부들에게는  적당하지 않을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모자 수첩과 보험증, 비상 연락처를 적어놓은 수첩 등을

항상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해요.